티스토리 뷰
목차
반응형


주식 투자 관련 자료를 보다 보면 ELN(Equity Linked Note)라는 용어가 자주 나옵니다. 한편, 미국 월배당 ETF인 JEPQ도 고수익·파생상품 활용 ETF로 잘 알려져 있죠. 그렇다면 ELN과 JEPQ는 같은 상품일까요? 이번 글에서는 ELN의 정의와 구조, 그리고 JEPQ ETF와의 차이를 실용적인 시각에서 정리합니다.
ELN(Equity Linked Note)의 정의

- 증권사가 발행하는 파생결합사채
- 채권+주식 옵션을 결합, 만기 조건 충족 시 수익 확정
- 원금보장형/조건부 손실형 존재
사례: “만기 1년, 애플 주가 -40% 이상 하락 안 하면 연 7% 지급” ELN에 가입한 투자자가 실제로 조건 충족으로 연 7% 이자를 받은 사례.
JEPQ ETF는 어떤 상품일까?

- 나스닥 100 지수 추종 + 콜옵션 매도(커버드콜)
- 매월 옵션 프리미엄을 배당으로 지급
- 상장 ETF이므로 언제든 사고팔 수 있음
ELN과 JEPQ의 차이점

| 구분 | ELN | JEPQ |
|---|---|---|
| 상품 유형 | 파생결합사채(비상장) | 상장 ETF |
| 운용 구조 | 채권+옵션, 조건 충족 시 이자 지급 | 지수 추종+옵션 프리미엄 배당 |
| 유동성 | 만기까지 보유 필요 | 언제든 매도 가능 |
| 수익 구조 | 조건부 확정형 | 변동형 월배당 |
| 위험 요인 | 기초자산 급락 시 원금 손실 | 지수 하락·배당 변동 |
결론:투자 성향·기간에 따라 선택 필요

- ELN = 조건부 확정 수익의 파생결합사채
- JEPQ = 공개 상장 ETF, 월배당 지급
- 투자 성향·기간에 따라 선택 필요
👉 안정적 조건부 수익은 ELN, 유동성과 배당을 원한다면 JEPQ가 적합합니다.
반응형